맨위로가기

한국철도공사 8500호대 전기 기관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8500호대 전기 기관차는 한국철도공사에서 운행하는 화물 열차 견인용 전기 기관차이다. 최고 속도 150km/h로 운행하며, IGBT-VVVF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Co-Co 방식의 대차를 채택하여 험지 운행에 적합하며, LED 헤드램프와 전면 및 측면 카메라를 통해 시야 확보와 입환 작업 효율을 높였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총 87량이 도입되었으며, 경부선, 충북선, 영동선, 태백선, 중앙선 등에서 운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전기 기관차 - 한국철도공사 8100호대 전기 기관차
    한국철도공사 8100호대 전기 기관차는 지멘스 유로스프린터 ES64F형을 기반으로 대우중공업이 제작한 전기 기관차이나, 기술적 및 운영상의 문제로 생산이 중단되어 현재는 간헐적으로 화물 수송에 사용되고 있으며, 국산 전기 기관차 개발에 교훈을 제공하였다.
  • 대한민국의 전기 기관차 - 한국철도공사 8000호대 전기 기관차
    한국철도공사 8000호대 전기 기관차는 알스톰 컨소시엄에서 개발되어 1972년부터 1990년까지 총 94량 도입된 SNCF BB 15000형 기반의 전기 기관차로, 산악 지형에 적합한 Bo-Bo-Bo 대차 배열과 3,900kW의 출력을 갖추었으며, 현재는 국내 제작된 4량만 운행 중이고 2량은 철도기념물로 보존되고 있다.
  • 현대로템의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 현대로템의 철도 차량 - KTX-산천
    KTX-산천은 대한민국 고속철도 기술 자립을 위해 HSR-350x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10량 편성, 알루미늄 차체, 1,100kW급 유도전동기, 개선된 제동 장치, ATP/ERTMS 시스템 등을 갖추고 최고 시속 305km로 운행하며, 좌석 간 거리 확대 및 회전 좌석 등 승객 편의성을 개선하고 국산화율을 87%까지 높인 고속열차이다.
  • 철도 차량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한국철도공사 8500호대 전기 기관차
기본 정보
대전역에 정차중인 8501호
대전역에 정차중인 8501호
기관차 이름8500호대 전기 기관차
운영 기관한국철도공사
제작 회사현대로템, 도시바
제작 연도2012년 ~ 2014년
생산량87량
도입 단가6,258,928,571원 (2012-2013년)
6,322,000,000원 (2014년)
기술 사양
전기 방식교류 25,000V, 60 Hz
제어 방식도시바 VVVF-IGBT
치차비6.294:1
차륜 배열CO-CO
영업 최고 속도150 km/h
설계 최고 속도165 km/h
전동기 출력6,600 kW (8,850HP)
견인력450 kN
전폭3,060 mm
전고4,000 mm
전장22,400 mm
차중132 t
축중22 t
궤간1,435 mm
구동 장치유도전동기
제동 방식전기지령식 공기제동, 회생제동
집전 방식EL-YP200S pantograph
안전 장치ATS, ATP(안살도)
차륜 직경1250 mm
차체 폭3,120 mm
차체 높이4,450 mm
차체 길이21,000 mm
동력 출력6600 kW
최대 견인력450 kN
제동 시스템전자 제어 공기 브레이크, 공기 브레이크, 회생 제동
기타
운행 노선중앙선
태백선
영동선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경전선
기관차 번호8501–8587

2. 기술적 사양

8500호대 전기 기관차는 화물 열차 견인을 주 목적으로 설계되어 객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HEP)는 없다. 하지만, 기관차와 객차 간 통신을 위한 24핀 점퍼선이 설치되어 정보 교환이 가능하다. 전면 및 측면 카메라를 통해 효율적인 입환 작업을 지원하며, KTX-산천, ITX-청춘 등에 사용된 LED 헤드램프(일부는 HID 램프)를 채택하여 기관사의 시야 확보 문제를 개선했다.

Co-Co 방식의 대차를 채택하여 험지 운행 및 화물 열차 견인 시 견인력과 접지력을 높여 공전 현상을 줄였다. 최고 속도는 150km/h(설계 최고 속도 165km/h)로 고속 화물 열차 운행에 대응한다. 기존 8200호대 전기 기관차의 GTO 대신 도시바 IGBT를 채택했다.

주요 제원은 다음과 같다.


  • 전기 방식: 교류 25000V, 60Hz
  • 제어 방식: IGBT-VVVF(1제어기 1개 모터 제어)
  • 기어비: 6.294
  • 차축 배치: Co'Co'
  • 영업 최고 속도: 150km/h
  • 설계 최고 속도: 165km/h
  • 주전동기 출력: 1100kW×6 (유도전동기)
  • 견인력: 450kN
  • 전장: 22400mm
  • 전폭: 3060mm
  • 전고: 4000mm
  • 차량 중량: 132t
  • 축중: 22t
  • 궤간: 1435mm
  • 제동 방식: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및 회생제동
  • 보안 장치: ATS, ATP

3. 디자인 및 외형

8500호대는 기존 기관차보다 전장이 22,400mm로 더 길어졌다. 8200호대에 있던 중앙 전조등을 운전실 위로 올려 야간 곡선 구간 주행 시 시야 확보를 개선했다. LED 전조등(일부는 HID)을 적용하여 밝기를 개선했다. 전 차량에 안티클라임이 장착되어 있다.

4. 운행 구간

8500호대 전기 기관차는 8000호대 전기 기관차가 주로 운행되던 경부선, 충북선, 영동선, 태백선, 중앙선 등에서 운행되고 있다. 화물 열차뿐만 아니라 여객 열차도 가끔 견인한다.

5. 차량 현황

한국철도공사 8500호대 전기 기관차는 총 87량이 도입되어 운행 중이다. 8501호부터 8556호까지는 2012년에, 8557호부터 8587호까지는 2014년에 도입되었다.

차호도입 시기비고
8501호 ~ 8556호2012년운행 중
8557호 ~ 8587호2014년운행 중



일부 차량은 사고 이력이 있다. 8523호는 2017년 10월 영동선 백산역 탈선사고를 겪었으며, 8569호는 2017년 9월 13일 원덕-양평간 운행 중 한국철도공사 8200호대 전기 기관차 8252호와 충돌했다. 8578호는 2021년 12월 1일 충북선 달천역 인근 광산건널목 구간 운행 도중 SUV 차량과 추돌 사고가 발생했다.

6. 사건/사고

6. 1. 2017년 영동선 백산역 탈선 사고

6. 2. 2017년 원덕-양평 간 충돌 사고

6. 3. 2021년 충북선 달천역 인근 추돌 사고

참조

[1] 웹사이트 納入実績:東芝インフラシステムズ株式会社 https://www.global.t[...] 2022-09-01
[2] 웹사이트 東芝:ニュースリリース (2012-03-07):韓国鉄道公社向け電気機関車用電気品の主要部品の受注について https://www.toshiba.[...] 2019-11-10
[3] 보고서 제52회 2014 철도통계연보 http://www.kric.or.k[...] 한국철도공사·공항철도·한국철도시설공단 201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